본문 바로가기
비트코인/뉴스

레딧 협력 폴리곤(MATIC) 소개, 전망 및 대처방안(이더리움킬러)

by FastBit Translator 2021. 12. 24.

현재 폴리곤의 상승세는 꺾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이유로는 폴리곤이 소셜 미디어 레딧의 공동 설립자 중 한 명인 알렉시스 오하니안과 협력해

2억달러 펀드를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을 알렸기 때문이다(2021/12/22기준)


폴리곤이란

 

폴리곤은 인도의 이더리움이라고도 불리는 플랫폼으로

이더리움의 레이어2 솔루션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다.

원레 있는 부모체인에 별도의 오프체인을 연결하는 레이어2 솔루션인 플라즈마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더리움 트랜젝션을 분산해 네트워크의 병목현상을 해결하며

자체 메인넷에 있는 코인을 ERC-20토큰으로 전환하는 브릿지 기능을 제공한다.

 

좀 더 쉬운 말로 아래에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폴리곤은 레이어2 기술을 사용하는데

이더리움은 레이어1이다.

 

이더리움 생태계에는 많은 하위 토큰들이 존재한다.

이더리움은 위워크처럼 하나의 공유 오피스 역할을 하고, 나머지 하위 토큰들은 거기서 일하는 업체들이다.

업체들은 일을 하고 번 돈으로 이더리움(건물주)에게 월세(수수료)를 지급하게 된다.

문제는 이더리움이 1층밖에 없어서 업자들의 수용능력이 점점 떨어진다는 것이다.

 

폴리곤은 1층밖에 없는 공유 오피스를 2층으로 만들어 복층 구조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코인이다.

이더리움 안에 있는 업자들도 마음껏 2층을 누빌 수 있게 때문에

월세도 저렴해지고 속도도 빨라진다.

그래서 폴리곤은 이더리움을 보완할 수 있는 것이다.

 


폴리곤 CEO

 

샌딥 네일왈 이력(인도태생)

 

2010년 CSC에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취업

2014 딜로이트에 컨설턴트로 취업

2015-2016 웰스펀그룹의 기술 부문장

2016 스코프위버 공동창업

2018 폴리곤 공동창업


폴리곤 소식(뉴스)

 

1. 탈중앙화 거래소 유니스왑의 모든 유니스왑 V3 계약이 폴리곤 메인넷에 배치된다.(2021.12.23)

유니스왑의 내재 토큰인 UNI 소유자들은 며칠 전 투표를 통해 이같은 거버넌스 제안을 승인했다.

 

2. 업비트, 20억원 규모 오입금 규제완료.(2021.12.10)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폴리곤 메인넷을 통해 오입금한 가상자산을 전액 구제 완료했다고 밝혔다.

10월 15일 폴리곤에 대한 거래 지원을 시작했으나, 일부 사용자들은 타 거래소에서 업비트로

디지털 자산을 출금하는 과정에서 폴리곤 체인을 선택해 오입금이 발생했다.

당초 지원하지 않는 네트워크로 잘못 송금한 경우는 복구 불가 유형에 해당한다.

하루에도 수많은 가상자산이 생겨나는 블록체인 환경에서 거래를 지원하지 않는 모든 네트워크에 대해

복구 시스템을 별로로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업비트는 이런 특성을 고려해 예방책을 시행하기 시작하였다.

 

3. 비트코인 주소 중에서는 78%가 수익상태인데, 이번 조정기 이더리움은 사상 최고가 대비 18%만 

하락하였다. 비트코인은 30%의 손실을 나타냈다.

폴리곤은 83%, 스시스왑은 84%가 수익상태로 비트코인에 비해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4. 인도의 자동차 제조자 MG모터는 폴리곤 네트워크를 이용한 NFT 컬렉션 출시를 발표했다.

폴리곤은 12월 14일 뭄바이 테스트넷에 이더리움의 EIP-1599 업데이트를 구현해 자체 토큰 MATIC의

수수료 소각 시스템을 도입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