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최신 중국 GDP 성장률 및 경제전망(4% 성장률 달성)
by FastBit Translator
2022. 7. 16.
[동향]
중국 2분기 GDP 성량률이 0.4% 예상치 크게 하회
코로나 봉쇄 영향으로 투자를 제외한 주요 지표 위축에 기인
º 소비 : 소매판매 증가율 크게 둔화(3.3% → -4.9%)
º 생산 : 산업생산 증가율 하향(6.5% → 0.6%)
º 투자 : 고정자산투자 증가률,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6.1%
º 무역 : 2분기 수출 자동차, 농산품 매출로 12.9% 증가
수입 1.7% 증가로 내수 부진, 무역흑자 2,278억 달러
º 물가 : 6월 소비자물가 2.5%(채소, 계란 등 식품 가격 상승)
[평가]
2분기 GDP 성량률 코로나19 직후인 2020년 1분기 제외하고 최저치 기록
6월 들어 봉쇄 완화 및 재정지원 확대로 일부 회복 조짐
º 상하이 봉쇄로 4월 소비와 생산 동반 마이너스 기록, 성장 크게 둔화
º 실업률 5.5%로 감소, 소비 회복 조짐
º IMF 입장은 중국의 확장적 재정지원 정책이 경기 하방 압력 일부 상쇄함
향후 제로코로나 정책 완화와 함께 금융지원 및 사회보장 강화 필요
º 상하이종합지수는 GDP 발표 등 영향으로 전일 대비 1.64% 하락
º 위안화 환율 6.77로 약보합세
[전망]
중국 정부의 인프라투자로 중국경기 일부 개선
코로나 봉쇄 불확실성으로 금년 성장률 IB전망치 하회 가능성
º 투자 위주 성장 : 철도, 전력망, 인공지능 플랫폼 등 정부 투자 및 민관협력사업 증대
º 1~5월 지방정부 특별 채권 발행액 2.4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2배이상 확대
º 코로나 봉쇄 리스크 : 최근 BA.5 변이가 발견되면서 확진자 400명대로 확대
º 교육, 오락 등 서비스업 소비 부진한 가운데 시민들이 소비 대신 저축을 늘려 내수 회복 지연
º 봉쇄 등으로 인한 부동산 침체는 금년 성장률을 1.4% 하락시킬 전망
º IB 성장률 전망 5.0%에서 4.1%로 하향조정, 일부 3% 예상(UBS, 바클레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