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연다, 리오픈!
팬데믹으로 인한 소비의 증가
리오프닝이라는 뜻은 다시 연다라는 의미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로 영업이 어려워지거나 실적이 부진했던 산업이 활성화가 되어 경기를 회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리오프닝 관련주는 대부분 카지노 엔터 여행 레저 화장품 항공 의류 서비스부문으로 대표적인 주식으로는
- 호텔신라
- 강원랜드
- 대한항공
- CJ CGV
- 이마트
- 롯데칠성
- CJ 제일제당
- 하이브 로 볼 수 있습니다.
팬데믹 초기 글로벌 수요 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전면적인 리오프닝 주는 상당한 수준의 잠재수요가 예상됩니다.
기대요인으로는
1. 팬데믹 초기의 저축 증가와 후반부 임금 상승등은 연초 이후 수요회복에 기여하였습니다.
2. 중국의 부분 봉쇄와 러-우 전쟁으로 인한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의 상품수입은 회복되고 있습니다.
3. 휴가시즌과 하반기 초 국경이동 제한 완화 등이 겹쳐 여행자 수 증가가 관측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약요인 또한 존재하는데요, 실질소득의 감소와 기대 인플레의 상승, 이자부담 증가, 주택의 자산효과 등이 리오프닝 수요를 제약할 수 있으며 최근의 고 점염성 변이 출현도 부담 요인입니다.
1. 현재의 고물가로 실질소득이 감소하는 가운데 중기 물기 예상치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팬데믹 기간 중 민간부채가 급증한 현재에서 시장 금리가 상승할 때 대출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증가하여 처분가능한 소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3. 경기 후퇴 우려 등으로 주가와 주택 가격등이 하락한 상황에서는 손실이 미실현 상태이더라도 평가손실 인식만으로도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팬데믹 기간 중에는 리오프닝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되어 왔으나, 물가 오름세와 시장금리 상승이 빨라지면서 가계가 소비를 확대하기 어려울 수 있기에 제약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면서 수요가 약화될 전망으로 보입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공모주 신한스팩10호 개요(증권신고서 참조) (0) | 2022.07.19 |
---|---|
금리인상 영향 분석(기준금리, 이자의 위험성, 가계대출부채) (0) | 2022.07.19 |
'22년 하반기 금리 전망 (미국금리인상, 원유증산, 중국GDP) (0) | 2022.07.17 |
최신 중국 GDP 성장률 및 경제전망(4% 성장률 달성) (0) | 2022.07.16 |
네덜란드 천연가스 선물 176% 상승 (유럽 천연가스 시장전망/러시아 노드스트림/가스공급차단) (0) | 2022.07.15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반응(시장반응, 해외시각) (0) | 2022.07.14 |
미국 소비자물가 40년 최고치 强통화긴축 가능성 높음(국제금융시장, 글로벌동향) (0) | 2022.07.14 |
미 백악관 경제 입장(성장둔화 현실, 경기침체/리세션 근거 불충분)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