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22년 하반기의 금리와 국제 금융시장의 전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연준의 주요 인사는 7월에 75bp 금리인상 가능성을 시사하며 100bp 인상 우려를 완화 시켰습니다.
▷ 바이든 대통령은 사우디아라비아에 방문하였으며 사우디의 추가 증산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사이가 좋지 않습니다.
그러나 유가를 잡기 위해 마음먹고 바이든이 사우디 순방을 결정한 것으로 보입니다.
산유국들은 오는 8월 3일 회의 이후 9월 이후의 원유 생산량을 조정할 예정이어서 앞으로 3주간은 에너지 시장에서 중요한 시기입니다.
그러나 미국의 희망에도 불구하고 사우디측은 원유 증산 문제는 논의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중앙은행들의 금리으로 내년 인플레이션이 둔화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 중국의 2/4 분기 GDP는 코로나19 이후로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 EU 집행위원회, 러시아 금 수입 금지 등 대러 추가 제재안 발표
EU 집행위는 러시아산 금 수입 금지를 포함한 새로운 대러 제재를 발표하고 현재 제재안을 6개월 연장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금번 제재안은 기존 제재를 유지 및 조정하기 위함이며, 글로벌 식량 위기를 감안해 러시아 곡물 및 식량 수출을 방해할 수 있는 규제는 수정할 방침이라 밝혔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데믹-리오프닝 수요기대 전망(정의, 기대수요, 대표 리오프닝주) (0) | 2022.07.21 |
---|---|
8월 공모주 신한스팩10호 개요(증권신고서 참조) (0) | 2022.07.19 |
금리인상 영향 분석(기준금리, 이자의 위험성, 가계대출부채) (0) | 2022.07.19 |
최신 중국 GDP 성장률 및 경제전망(4% 성장률 달성) (0) | 2022.07.16 |
네덜란드 천연가스 선물 176% 상승 (유럽 천연가스 시장전망/러시아 노드스트림/가스공급차단) (0) | 2022.07.15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반응(시장반응, 해외시각) (0) | 2022.07.14 |
미국 소비자물가 40년 최고치 强통화긴축 가능성 높음(국제금융시장, 글로벌동향) (0) | 2022.07.14 |
미 백악관 경제 입장(성장둔화 현실, 경기침체/리세션 근거 불충분)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