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해외주식

미국 증시와 금리 인상 전망 (최신뉴스, 한국 영향 등)

by FastBit Translator 2022. 1. 6.

다들 미국증시가 훈풍이 분다는데 홀로 -15%이라 슬픈 FastBit입니다.

미국증시는 규모도 큰 만큼 금리와 더불어 우리 나라 증시에도 영향이 없다고 할 수 없기에

한번 분석해보았습니다.


미국증시 관련 최신뉴스 헤드라인

 

- 미국증시 전망 모건스탠리 "증시호황 끝" vs 골드만 "하락우려 과도"

- 올해 미국증시 투자난이도 높아질 것

- 미국 증시 혼조세로 마감..테슬라 4.18% 하락

- 상반기 S&P500 변동성 커진다

 

미국금리 관련 최신뉴스 헤드라인

 

- 3년간 8차례 미국금리인상

- 미국 금리인상 전망에 일본 엔저 심화

- 원달러 환율 이틀 연속 1190원대

- 미국 기준금리 인상 서두른다..한은도 내년 3차례 이상 올릴수도

 

미국증시가 혼조세를 보이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크게 아래와 같은 것으로 보입니다.

 

- 연준의 통화정책 : 유동성회수를 알리는 신호탄. 미국 증시가 조정압력을 받을 가능성이 큼.

- 코로나19의 변이 : 신흥국 백신보금, 원부자재, 부품수출비중이 높은 동남아시아의 제조업 생산에 차질

- 금리인상 : 가파른 금리인상은 기술주에 부담으로 작용합니다.

 

이로 인한 영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업종별로 에너지, 금융, 산업, 자재, 필수소비재 관련주 상승 / 헬스, 기술, 임의소비재, 부동산 관련재 하락

- 포드 주가 전기 픽업트럭 F-150 주문 시작, 11% 상승

- 전날 13% 상승한 테슬라 4% 하락

 

미국금리 인상의 영향

 

미국의 저금리는 전세계 경기를 부양해왔기에 금리 인상은 세계 경제를 뒤흔들수도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미국 금리가 한국금리보다 높아지면 국내에 있는 외국인 자금 유출이 크며, 이 과정에서 환율 급등 등 우리나라 시장이 혼론과 카노스로 변할 수도 있습니다.

 

아직 국내 경제는 큰 폭탄을 맞은 느낌은 아닙니다. 연준에서 계속해서 정책금리 인상을 얘기해왔고 우리 나라 또한 금리를 이미 올렸기 때문입니다. 현재 우리나라 수준은 한국이 1% 미국이 0~0.25 정도 입니다. 다만 외국인 자본 유입은 감소할 것입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이미 외국인자본 유출이 된 상태지만, 앞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시작되면 외국인 자본은 더더욱 크게 유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도 시가총액 대비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은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때 혹시라도 연준의 긴축속도나 플랜이 변경되면 혼란은 불가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준금리와 부동산의 영향

 

저는 개인적으로 기준금리가 높아진다고 해서 부동산 구입에 큰 영향은 없지 않나 하는 입장입니다.

다달이 나가는 금액이 조금 높아질 순 있겠지만 그게 근로소득을 넘을 수준까지는 이미 안되게 막아놨죠.

대출을 40%밖에 못하게 해놨고, 2022년 1월 부턴 이미 기대출분까지 합산해서 계산을 하기 때문에

"부담되는 빚"을 지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구조입니다.

만약에 내가 10억짜리 건물을 산다고 한다 하면 원래 내가 2억 정도가 있고 신용대출 1억에 주택담보대출 7억까지는 대출이 됐는데 작년부터 올해는 내가 적어도 7억이 있어야 살 수 있는..그리고 그것마저도 세금 엄청 때려버리는 그런게 되었습니다.

래버리지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들어놓았기 때문에 기준금리 0.5..1%가 큰 영향을 미칠까 싶은 생각이 큽니다.

지금 부동산을 못산다면 그건 기준금리 때문이 아니라 그냥 돈이 없어서가 제일 큰 이유일 것 같구요

근로소득으로 계산을 해버리기 때문에 애초에 근로소득이 높아야 대출이 잘 나옵니다.

근로소득이 높아야 대출을 해주고 대출 기준금리가 아무리 높아봤자 이미 근로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충분히 감당 가능한 수준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서민층이 서서히 몰락하고 사는 곳이 인간의 격을 결정지어 버리는 슬럼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걸 저만 느끼는 게 아닐 것이고, 그래서 한정된 자원인 역세권 초품아 아파트들의 가격이 미쳤다 소리가 나올 정도로 뛰고 있는 겁니다. 다들 막차에 올라타고 싶으니까요.

그런데 대출을 안 해주니 이건 뭐 사다리를 끊는 정도가 아니라 아예 불질러 버리는 겁니다.

 

답은 아파트 공급일 것입니다. 아파트를 많이 지어서 선택지를 늘리면 아파트 가격이 정상화가 될 것 같습니다. 오래된 아파트들 재건축 진행하고 빌라들을 구역대로 모아서 개발해서 층수 높이고 하면 사람들이 좀 제대로 된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