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통화긴축 정책이 뭐길래
이렇게 온 세계가 난리지?
통화긴축 정책은 통화정책의 일종입니다.
통화정책이란 정부와 중앙은행이 한 국가의 화폐 공급, 유용성, 화폐가치, 금리 등의 정책을 시행할 때, 경제 성장이나 안정성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수행하는 일련의 조치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는 통화의 수량을 늘리거나 줄여서 국내경제의 흐름을 통제하고 조절하려는 정책이며 일반적으로는 통화 이론이 화폐 개혁에 가장 기초적이자 정통한 대책으로 여겨집니다.
화폐 정책은 대개 팽창적 화폐정책과 긴축적 화폐정책으로 규정되는데 말그대로 팽창을 꾀하는 정책은 화폐의 공급을 늘리는 것을, 수축 정책은 정반대의 원칙을 고수합니다.
현재 미국이 하고있는 것은 수축/긴축적 화폐정책이죠.
보통 긴축통화는 물가상승이 우려되어 중앙은행에서 통화량발행을 축소하거나 이자율을 인상하는 정책을 말합니다.
미국은 현재 제롬 파월을 앞세워 엄청난 금리인상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로 인해 시장에 풀렸던 돈이 다시 회수되고 있습니다.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물가를 잡기 위한 방법이자 코로나로 인한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금리를 정상화시키고자 하는 것이죠.
그러나 통화긴축으로 인플레이션이 잡힐 것 같진 않습니다.
현재 많은 증권사들이 예측하는 것은 경기침체(recession)이 올 것이라는 건데요,
이는 러시아-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경쟁
그리고 GDP 생산량의 감소
유동성 거품이 꺼지면서 나타나는 부작용들이 합쳐진 모습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앞선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재테크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가 상승 달러화 강세 영향 (0) | 2022.07.20 |
---|---|
중국 중소은행 뱅크런 지속, 화이트 스완 판국 (0) | 2022.07.12 |
급락장 대응 전략 최대낙폭(MDD) 알아보기(포트폴리오비주얼라이저) (0) | 2022.01.30 |
미국 증시와 금리 인상 전망 (최신뉴스, 한국 영향 등) (0) | 2022.01.06 |
나스닥 하락 이유, 전망 및 대처방안(미국 금리인상) (0) | 2021.12.17 |
캐시우드(ft.돈나무 언니)의 ARKK와 ARKW 소개, 비교 및 전망 (0) | 2021.06.26 |
자꾸만 떨어지는 ARKW 펀드..회복 가능성은? (0) | 2021.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