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주가가 예상보다 양호한 기업실적을 냈습니다. 이에 저점 통과 가능성 등으로 주가가 큰폭으로 상승했습니다.
- 미국 나스닥 지수는 아마존,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업들의 주가 강세등으로 최대폭 상승했습니다.
- 다우 및 S&P500 역시 큰 폭으로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 장난감 기업 Hasbro, 유정 관련 서비스 기업 Halliburton의 2/4분기 이익이 각각 예상치 상회 및 전년동기비 41%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 연준의 통화긴축이 당초 우려만큼 기업실적을 심각하게 저해하지 못했다는 안도감을 유발했습니다.
- 넷플릭스는 구독자 감소가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급등했습니다.
- 넷플릭스는 시간외 거래에서 6%이상 폭등했습니다.
- 7월 FOMC에서 1,0% 금리인상이 아닌 0.75% 인상이 유력하다는 평가도 주가 상승에 일조하고 있습니다.
- 주요 3대 주가지수가 모두 50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면서 주가 저점 통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기관투자가의 주식비중이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이라는 사실 또한 저가매수의 기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근데, 기관이 빠졌다는 건 그만큼 위험하다는 거 아닌가? 이거 또 개미들 설거지 하려고 계획짜고 있는 건 아니겠지?)
□ 미국 6월 주택착공이 9개월만에 최저에 달했습니다.
- 해당 건수는 연환산 155.9만건으로 예상치를 하회했습니다.
- 금리 인상으로 인한 비용부담 증가가 원인으로 꼽혔습니다.
- 최근 30년 모기지 금리가 평균 6%에 근접하여 연초 대비 2배수준에 근접했습니다.
□ 미국 달러화 강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금리인상 경로에 영향이 예상됩니다.
- 최근 미국 달러화는 20년 래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 국제 유가 및 농산품 가격은 6월부터 하락세를 보입니다.
- 브렌트유 가격은 달러화 기준 59% 상승했으나, 엔화 기준 85% 상승했습니다.
- 연준의 금리인상은 '23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달러화 약세 전환은 기대난입니다.
- 달러화 강세 효과로 인한 원자재 가격 하락이 지속되면, 이는 연준의 고물가 대응에 긍정적입니다.
- 또한 경기침체를 초래할 수준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필요성도 낮출 소지가 보입니다.
'재테크 >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통화긴축 / 긴축통화 정책이란 무엇일까 (1) | 2022.07.18 |
---|---|
중국 중소은행 뱅크런 지속, 화이트 스완 판국 (0) | 2022.07.12 |
급락장 대응 전략 최대낙폭(MDD) 알아보기(포트폴리오비주얼라이저) (0) | 2022.01.30 |
미국 증시와 금리 인상 전망 (최신뉴스, 한국 영향 등) (0) | 2022.01.06 |
나스닥 하락 이유, 전망 및 대처방안(미국 금리인상) (0) | 2021.12.17 |
캐시우드(ft.돈나무 언니)의 ARKK와 ARKW 소개, 비교 및 전망 (0) | 2021.06.26 |
자꾸만 떨어지는 ARKW 펀드..회복 가능성은? (0) | 2021.05.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