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경제 상반기 동향
º 성장둔화 + 물가상승 빠르게 진행
- 금년 성장전망 4.5%('21.12월) 에서 3.4%('22.6월)로 지속적 하향
- 금년 물가전망 3.9%('21.12월)에서 6.7%('22.6월)로 큰 폭으로 상향
º 공급제약 고물가 속 전쟁, 중국 봉쇄 등 악재
- 수요 부담 가중 : 고물가 지속으로 가계 구매력 잠식, 통화정책 정상화 가속
- 공급 제약 가중 : 생산 물류 차질 지속 중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국 봉쇄 가세
º 경제지표 흐름, 악화 추제 지속
- 글로벌 경제지표 기대 미달, 경기선행지표 하향세(글로벌 제조업 수주, ESI, 미 소비자신뢰지수)
- 물가상승세 예상 상회하며 높은 지속성, 통화긴축 등으로 금융여건 악화
º 성장세 유지, 그러나 추가 하락 위험
- 고물가에도 선진국 소비여력은 상당, 하반기 성장세 유지
- 그러나 원자재 가격 급등 소지, 인플레이션 기대반영 및 임금상승세로 경기 향방 우려 큼
º 긴축강화 영향이 관건
- 원자재가격 상승압력 지속, 공급망 차질 장기화 우려, 물가압력 빠른 해소 기대난
- 서비스 부문 물가 및 임금 본격 상승 전망
- 인플레 제어 실패 시 통화긴축 강도 높아져 경제충격 심화
2022년 6월 말 주요 자산가격 현 위치
º 주가
- 세계 주가(MSCI), 사상최고 대비 -19%
- S&P500, 기술적 약세장 영역 진입
º 금리
- 미 국채금리 중기 고점 상회
º 환율
- 달러인덱스, 코로나 위기수준 상회
- 엔화 대미 가치 20년래 최저 수준
- 신흥국통화지수 사상 최저 부근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공모주 신한스팩10호 개요(증권신고서 참조) (0) | 2022.07.19 |
---|---|
금리인상 영향 분석(기준금리, 이자의 위험성, 가계대출부채) (0) | 2022.07.19 |
'22년 하반기 금리 전망 (미국금리인상, 원유증산, 중국GDP) (0) | 2022.07.17 |
최신 중국 GDP 성장률 및 경제전망(4% 성장률 달성) (0) | 2022.07.16 |
네덜란드 천연가스 선물 176% 상승 (유럽 천연가스 시장전망/러시아 노드스트림/가스공급차단) (0) | 2022.07.15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반응(시장반응, 해외시각) (0) | 2022.07.14 |
미국 소비자물가 40년 최고치 强통화긴축 가능성 높음(국제금융시장, 글로벌동향) (0) | 2022.07.14 |
미 백악관 경제 입장(성장둔화 현실, 경기침체/리세션 근거 불충분)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