º 주요 뉴스
- 미/일 재무장관, 물가 급등 및 외환시장 변동성 확대 관련 대응방안 논의
- 독일 중앙은행 총재, 시장에서 형성되는 역내 국채수익률 스프레드 합리적이라 판단
- OPEC 내년 글로벌 원유수요 증가세는 금년 대비 둔화 전망, 공급 부족은 지속 예상
º 국제금융시장
- 미국 고강도 통화긴축과 경기침체 우려로 위험자산 선호 약화
- 미국 주가 하락, 달러 강세, 금리 하락
- 주가 하락 : 6월 소비자물가 및 기업실적 관련 경계감이 원인
- 환율 : 달러화지수 안전자산 선호 강화 등이 영향
- 금리 :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향후 경기불안 등이 반영됨, 국채 수익률 역전 지속
º 미국 백악관 입장
- 노동 및 경제활동이 둔화되는 것은 사실
- 최근 에너지 가격이 떨어지고 있고 추가적 하락 예상됨
-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8.8% 예상
- 노동시장이 양호하나, 이것이 강력한 경제활동이 아니라 인위적인 직원 늘리기 가능성 존재
-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까지 떨어질 수 있으나 상당한 시간소요 가능성
º 글로벌 동향
- 국제에너지기구, 아시아 국가들 에너지 공급 다각화 필요 권고
(중국과 러시아 의존도 낮춰야 함)
- 일본 6월 생산자물가 상승률 사상 최고 수준 지속(9.3%)
º 외신평가
- 미국 금융권, 통화긴축에 따른 경기침체 발생 가능성 우려
- 미국 주거비 상승,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시킬 전망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8월 공모주 신한스팩10호 개요(증권신고서 참조) (1) | 2022.07.19 |
---|---|
금리인상 영향 분석(기준금리, 이자의 위험성, 가계대출부채) (0) | 2022.07.19 |
'22년 하반기 금리 전망 (미국금리인상, 원유증산, 중국GDP) (0) | 2022.07.17 |
최신 중국 GDP 성장률 및 경제전망(4% 성장률 달성) (0) | 2022.07.16 |
네덜란드 천연가스 선물 176% 상승 (유럽 천연가스 시장전망/러시아 노드스트림/가스공급차단) (0) | 2022.07.15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반응(시장반응, 해외시각) (0) | 2022.07.14 |
미국 소비자물가 40년 최고치 强통화긴축 가능성 높음(국제금융시장, 글로벌동향) (0) | 2022.07.14 |
'22년 경제 상반기 및 현재 동향(물가상승, 성장세 유지, 인플레이션) (0) | 2022.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