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미국 소비자물가 40년 최고치 强통화긴축 가능성 높음(국제금융시장, 글로벌동향)

by FastBit Translator 2022. 7. 14.

º 주요 뉴스

   미국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40년래 최고치. 연준의 보다 강력한 통화긴축 가능성  

    애틀랜타 연은 총재, 7월 FOMC에서 1.0%p 금리인상 검토 가능  

    중국 6월 수출 증가율, 5개월래 최고 수준. 향후 전망은 대외여건 악화로 불투명  

    캐나다 중앙은행, 정책금리 2.5%로 1.0%p 인상. 인플레이션 대응이 목적

   

º 국제금융시장

 

   미국은 6월 소비자물가의 급등 등으로 위험자산 선호 약화   

       주가 하락[-0.5%], 달러화 약세[-0.04%], 금리 하락[-4bp] 

    주가: 미국 S&P500지수는 보다 강력한 통화긴축 가능성 등이 반영. 장중 낙폭은 축소  

               유로 Stoxx600지수는 미국 증시와 유사한 이유 등으로 1.0% 하락   

    환율: 달러화지수는 그 동안의 상승에 따른 차익 매물 증가 등이 영향  

               유로화가치는 0.2% 상승, 엔화는 0.4% 절하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성장률 둔화 우려 등으로 하락     

               독일은 미국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전망 등으로 1bp 상승 

   ※ 원/달러 1M NDF환율(1304.1원, -2.8원) 0.2% 하락, 한국 CDS 보합


º 주요 뉴스

    ㅇ  미국 6월 소비자물가 40년래 최고치, 연준의 강력한 통화긴축 가능성

     -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비 9.1% 올라 예상치 상회, 근원 소비자물가 연간 상승률은 5.9%로 전월 대비 둔화. 하지만 월간 상승률은 0.7%로 전월 대비 상승

     - 세부항목 기준으로 에너지 부문이 매우 높은 상승률 기록, 소비자물가 상승분에서 절반차지

    - 에너지 부문 외에도 인플레이션 압력 높아짐, 주거비 최고치 기록

    - 주거비, 임대료, 휘발유 등 근원 소비자물가 항목의 물가 상승세가 전반적으로 강하기 때문에 당분간 인플레이션 정점 통과 기대 어려움

    - 금리인상과 관계가 깊은 2년물 국채금리 상승. 10년물 금리는 하락

 

    7월 FOMC에서 1.0% 금리인상 방안 검토

    - 애틀랜타 연은 총재 보스틱은 인플레이션이 긍정적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확인

 

   ㅇ 미국 에너지 장관, 주요 광물 무기화 우려

    - 에너지장관은 주요 광물 가격이 특정 국가의 인위적 결정에 취약해질 수 있다고 지적

    - 국가 안보 및 건전성 측면에서 공급망 다각화를 통해 탄소 제로 목표 달성 가능이 필요함

    - 호주와 강력한 우호관계를 맺기 원함

 

   ㅇ 독일 재무차관, 러시아산 석탄 및 석유 수입 중단

    - 독일은 러시아산 석탄과 석유를 각각 8/1일, 12/31일 중단하겠다고 발표

    - 러시아산 가스의 경우 대체 공급원 마련 어려움

    - 에너지관련 갈등으로 당장은 금융 안정이 위협을 받지 않지만, 3-6개월 후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음

 

댓글